Java(11)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구조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본격적인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기 전에 프로젝트 구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rc/main/java 디렉터리 src/main/java 디렉터리는 자바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com.mysite.testproject 패키지 이 패키지는 testproject라는 프로젝트의 자바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스프링 부트의 컨트롤러, 폼과 DTO,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위한 entity, service 등이 이곳에 위치합니다. 컨트롤러는 URL 요청을 처리하고 폼은 사용자의 입력을 검증합니다. DTO, entity, service 파일은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입니다. TestProjectApplication.java 스프링 부트로 만든 프로그램(..
2024.03.28 -
스프링부트 도구들을 살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프링부트의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살펴보고 각각의 도구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 부트 도구 필자가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레거쉬 프로젝트를 사용할 때만 해도 의존성들을 손수 입력해줬었는데 스프링 부트에서는 앞선 시간에 이미 의존성 주입을 마쳤습니다. 필요한 의존성 주입은 끝났으니 간단하게 주입한 스프링부트 도구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부트 도구는 gradle로 만들었을 때 위 사진에 보이시는 build.gradle.kts 파일을 열어보시면 살펴볼 수 있습니다. 파일 목록에서 찾기 힘드시다면 파일 목록에서 shift를 두번 누르시면 나오는 검색창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build.gradle.kts 파일을 열면 위와 같이..
2024.03.28 -
스프링 부트로 기본적인 웹 프로젝트 만들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간단한 웹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면서 기본적으로 스프링 부트가 어떻게 작동하고 프로젝트 생성이 잘 되었나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서비스 간단 동작 원리 1.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 기본적인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관계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하면 서버에서 해당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한 후에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식입니다. request 와 responce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2. IP 주소와 포트 포트(port)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분하는 번호이며, 하나의 서버 주소에 포트를 사용하여 매운 많은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ttp: 웹서비스 -> 포트번호 80 2. Https: SSL을 적용한..
2024.03.27 -
스프링 부트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자!
JDK 설치하기 자바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JDK를 설치합니다. 'JDK Download'를 검색하거나 아래 url로 들어갑니다.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downloads/ 제대로 홈페이지를 찾아서 들어갔다면 이런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사용할 자바의 버전을 선택해줍니다. 필자는 17 버전을 사용하기 때문에 JDK17 버전을 선택해주었습니다. 사용하는 OS버전을 선택해줍니다. 필자는 windows를 사용하기 때문에 windows를 선택해주었습니다. 맞는 OS를 선택해주었다면 X64 MSI Installer로 설치를 시작해줍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면 해당 설치 파일을 실행시켜줍니다. Next를 눌러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원하시는 파일 경로를 선택하시..
2024.03.27 -
스프링 부트를 시작해보자!
준비물(버전 계획) - 스프링부트: 3.1.0 - 자바 버전: 17버전 - 부트스트랩 버전: 5.2.3버전 - MariaDB: 10.11.7버전 스프링 부트(Spring Boot) 웹 프로그램(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의 웹 프레임워크 웹 프레임워크 웹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스타터 키트 스프링 부트의 장점 1. 기본적인 보안 공격을 잘 막아준다. 대표적인 보안 공격 1. SQL 인젝션: 악의적인 SQL을 주입하여 공격하는 방법 2. XSS: 자바스크립트를 삽입해 공격하는 방법 3. CSRF: 위조된 요청을 보내는 공격하는 방법 4. 클릭재킹: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클릭을 유도하는 공격 방법 2. WAS(ex:톰캣)가 필요없다. 스프링 부트에 톰캣 서버가 내장되어 있..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