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8)
-
[LibraryProject] 정회원 전환 신청 기능 구현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도서관 프로젝트에서 구현한 기능 중 정회원 전환 신청 기능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준회원 권한을 가지고 있는 아이디로 로그인했을 때의 화면입니다. member라는 테이블에 rankid라는 컬럼에 번호를 부여하여 준회원은 10의 숫자를 부여해 준회원일 때에만 topnav에 정회원 전환 신청 배너가 나오도록 구현하였습니다. 해당 버튼을 눌렀을 때의 요청을 받아주는 컨트롤러입니다. toRegular로 온 get 요청을 application/toRegular로 보내줍니다. 정회원 전환 신청을 누르면 나오는 신청 폼입니다. 작성자는 회원의 닉네임이 자동으로 들어가고 내용을 입력한 뒤에 작성 완료를 누르게 되면 신청이 완료 되면서 index로 넘어가게 됩니다. 컨트..
2024.04.16 -
스프링 부트 컨트롤러와 매핑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URL 매핑과 컨트롤러에 대해서 알아보고 간단한 웹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URL 매핑과 컨트롤러 1. 404 오류 아무것도 안하고 서버를 실행해봅시다. 이때 왼쪽 상단에 있는 실행버튼 옆에 있는 목록이 위 사진처럼 Application으로 되어있지 않다면 Application으로 바꾼 후에 실행해줍니다. 그 후에 브라우저에 http://localhost:8080/jindeug 페이지를 요청해봅시다. 현재 아무것도 만들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겁니다. 이런 오류가 나오게 되면 위 사진에 있는 빨간 밑줄을 먼저 봐주시면 좋습니다. 여기에서 404는 HTTP 오류 코드 중 하나로, 브라우저가 요청한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의미..
2024.03.28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구조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본격적인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기 전에 프로젝트 구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rc/main/java 디렉터리 src/main/java 디렉터리는 자바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com.mysite.testproject 패키지 이 패키지는 testproject라는 프로젝트의 자바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스프링 부트의 컨트롤러, 폼과 DTO,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위한 entity, service 등이 이곳에 위치합니다. 컨트롤러는 URL 요청을 처리하고 폼은 사용자의 입력을 검증합니다. DTO, entity, service 파일은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입니다. TestProjectApplication.java 스프링 부트로 만든 프로그램(..
2024.03.28 -
스프링부트 도구들을 살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프링부트의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살펴보고 각각의 도구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 부트 도구 필자가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레거쉬 프로젝트를 사용할 때만 해도 의존성들을 손수 입력해줬었는데 스프링 부트에서는 앞선 시간에 이미 의존성 주입을 마쳤습니다. 필요한 의존성 주입은 끝났으니 간단하게 주입한 스프링부트 도구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부트 도구는 gradle로 만들었을 때 위 사진에 보이시는 build.gradle.kts 파일을 열어보시면 살펴볼 수 있습니다. 파일 목록에서 찾기 힘드시다면 파일 목록에서 shift를 두번 누르시면 나오는 검색창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build.gradle.kts 파일을 열면 위와 같이..
2024.03.28 -
스프링 부트로 기본적인 웹 프로젝트 만들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간단한 웹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면서 기본적으로 스프링 부트가 어떻게 작동하고 프로젝트 생성이 잘 되었나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서비스 간단 동작 원리 1.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 기본적인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관계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하면 서버에서 해당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한 후에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식입니다. request 와 responce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2. IP 주소와 포트 포트(port)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분하는 번호이며, 하나의 서버 주소에 포트를 사용하여 매운 많은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ttp: 웹서비스 -> 포트번호 80 2. Https: SSL을 적용한..
2024.03.27 -
[스프링 부트] ERROR 14360 컨트롤러만 만들고 실행했는데 오류 발생
오류 발생 상황 - 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컨트롤러만 생성해서 실행을 했더니 오류가 발생하면서 실행이 안됨 - 데이터 베이스 설정 오류이거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드라이버가 클래스 패스에 없는 경우로 의심됨 오류 내용 C:\Users\jongho\.jdks\corretto-17.0.10\bin\java.exe -XX:TieredStopAtLevel=1 -Dspring.output.ansi.enabled=always -Dcom.sun.management.jmxremote -Dspring.jmx.enabled=true -Dspring.liveBeansView.mbeanDomain -Dspring.application.admin.enabled=true "-Dmanagement.end..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