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0)
-
자바 연산자(operator) 개념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처음에 저장해 둔 변수만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러 데이터들을 가공하거나 연산들을 수행할 일들이 생기게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바에서 여러 연산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기호인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산자(operator)와 피연산자(operand) 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합니다. 연산자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산의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피연산자(operand)라고 합니다. 피연산자로 상수, 변수 또는 식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산자(operator)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 / 등) 피연산자(operand) : 연산자의 작업 대상(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대부분의 연산자..
2024.12.26 -
형변환으로 다른 타입으로 변환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이제까지 변수와 리터럴, 그리고 여러 진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변수에는 여러 타입들이 있는데 서로 다른 타입 간의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타입을 일치시켜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변수나 리터럴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형변환(casting)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형변환 하는 법 (타입) 피연산자 형변환을 하는 방법은 형변환하고자 하는 변수나 리터럴의 앞에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을 괄호와 함께 붙여주기만 하면 됩니다.여기에 사용되는 괄호()는 캐스트 연산자 또는 형변환 연산자라고 하며, 형변환을 캐스팅(casting)이라고도 합니다. 위 예제에서 형변환 연산자는 그저 피연산자의 값을 읽어서 지정된..
2024.12.24 -
기본형 타입 중 정수형과 실수형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이어 기본형 타입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에서도 숫자들을 다루는 정수형과 실수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정수형에는 모두 4개의 자료형이 있으며, 기본 자료형(default data type)은 int입니다.어떤 진법의 리터럴을 변수에 저장해도 실제로는 2진수로 바뀌어 저장됩니다.2진수가 저장되는 형식은 크게 정수형과 실수형이 있습니다.Sn-1 bit S : 부호 비트(양수는 0, 음수는 1) n : 타입의 크기(단위: bit) 모든 정수형은 부호 있는 정수이므로 왼쪽의 첫 번째 비트를 부호 비트(sign bit)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값을 표현하는 데 사용합니다.그래서 n비트로 표..
2024.12.23 -
기본형 타입 중 논리형과 문자형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에 간단하게 다루고 넘어간 기본형 타입에 대해서 좀 더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가지 기본형 중 정수형과 실수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기로 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논리형과 문자형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논리형(boolean) 논리형에는 'boolean' 한 가지밖에 없습니다.boolean형 변수에는 true와 false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default)은 false입니다.대답(yes/no), 스위치(on/off) 등의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됩니다.1bit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자바에서는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단위가 byte이기 때문에, boolean의 크기가 1byte입니다. 자바에서는 대소문자가 구분되기 때문에 Tr..
2024.12.20 -
진법을 이용하여 숫자를 여러 방식으로 표현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평소에 숫자를 활용하거나 표현할 때 가장 친숙한 표현은 10진법입니다. 하지만 컴퓨터나 전자 제품들은 2진법을 사용하여 숫자들을 이해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숫자를 다르게 표현하는 여러 가지 진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bit)와 바이트(byte) 먼저 진법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컴퓨터가 값을 저장하는 방식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bit, binary digit)는 한자리의 2진수로 1비트는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 단위입니다.그러나 1비트는 너무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1비트 8개를 묶어서 바이트(byte)라는 단위로 정의해서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 사용합니다.워드(word)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의..
2024.12.19 -
자바 console에 입출력을 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코딩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여러 변수들의 타입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바 console에 입력과 출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rintf()와 지시자 println()은 값을 변환하지 않고는 다른 형식으로 출력할 수 없습니다.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출력한다거나, 정수를 16진수나 8진수로 출력하고 싶을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럴 때 printf()를 사용하면 원하는 출력이 가능하게 됩니다. printf()를 사용할 때에는 지시자(specifier)를 사용하게 됩니다. 지시자는 값을 어떻게 출력할 것인지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위 예시와 같이 값이 2개라면 지시자도 2개를 사용해주어야 합니다. 3개 이상의 값도 지시자의 개..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