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27)
-
기본형 타입 중 논리형과 문자형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코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에 간단하게 다루고 넘어간 기본형 타입에 대해서 좀 더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가지 기본형 중 정수형과 실수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기로 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논리형과 문자형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논리형(boolean) 논리형에는 'boolean' 한 가지밖에 없습니다.boolean형 변수에는 true와 false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default)은 false입니다.대답(yes/no), 스위치(on/off) 등의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됩니다.1bit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자바에서는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단위가 byte이기 때문에, boolean의 크기가 1byte입니다. 자바에서는 대소문자가 구분되기 때문에 Tr..
2024.12.20 -
진법을 이용하여 숫자를 여러 방식으로 표현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평소에 숫자를 활용하거나 표현할 때 가장 친숙한 표현은 10진법입니다. 하지만 컴퓨터나 전자 제품들은 2진법을 사용하여 숫자들을 이해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숫자를 다르게 표현하는 여러 가지 진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bit)와 바이트(byte) 먼저 진법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컴퓨터가 값을 저장하는 방식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bit, binary digit)는 한자리의 2진수로 1비트는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 단위입니다.그러나 1비트는 너무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1비트 8개를 묶어서 바이트(byte)라는 단위로 정의해서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 사용합니다.워드(word)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의..
2024.12.19 -
자바 console에 입출력을 해보자
안녕하세요. 진득코딩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여러 변수들의 타입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바 console에 입력과 출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rintf()와 지시자 println()은 값을 변환하지 않고는 다른 형식으로 출력할 수 없습니다.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출력한다거나, 정수를 16진수나 8진수로 출력하고 싶을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럴 때 printf()를 사용하면 원하는 출력이 가능하게 됩니다. printf()를 사용할 때에는 지시자(specifier)를 사용하게 됩니다. 지시자는 값을 어떻게 출력할 것인지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위 예시와 같이 값이 2개라면 지시자도 2개를 사용해주어야 합니다. 3개 이상의 값도 지시자의 개..
2024.12.18 -
자바 변수의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자바의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을 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저번에 배운 변수들의 타입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값(data)의 종류 값(data)의 종류에는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이 중 숫자는 다시 정수와 실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이러한 값(data)의 종류(type)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 형식을 정의한 것이 자료형(data type)입니다.자료형에는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실수형(float, double) 등이 있습니다.기본형과 참조형 자료형은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기본형 변수- 실제 값(data)을 저장합니다.- 논리형(boolea..
2024.12.17 -
자바에서의 변수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저번 시간까지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를 배우기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에 대해서 알아보고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의 의미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변수(variable)의 정의 변수는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1. 변수의 선언 변수는 먼저 선언을 해야 하는데 위와 같이 선언하게 됩니다. 앞에 위치하고 있는 'int'를 변수 타입이라고 하는데 이는 변수에 저장될 값이 어떤 '타입(type)'인지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변수 타입 뒤에 위치한 'age'는 변수 이름이라고 하는데 이는 변수에 붙인 이름입니다. 변수 이름은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여주어 저장된 ..
2024.12.16 -
자바 프로그램 작성법과 주석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진득 코딩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이클립스를 설치하고 자바 언어를 사용할 환경을 세팅하는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간단한 자바 프로그램 작성법과 주석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로 프로그램 작성하기 자바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여러 규칙이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자바에서 모든 코드는 반드시 클래스 안에 존재해야 하며, 서로 관련된 코드들을 그룹으로 나누어 별도의 클래스를 구성한다는 것입니다. 클래스를 작성하는 방법은 키워드 'class' 다음에 클래스의 이름을 적고, 클래스의 시작과 끝을 의미하는 괄호 {} 안에 원하는 코드를 넣으면 됩니다. 위 코드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는 main 메서드의 선언부인데..
2024.12.13